FLASK 3

[python,Flask]임시 파일 생성 및 처리 방식 비교

파일을 생성하고 반환하는 방식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입니다.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식은 tempfile.mkdtemp()를 사용하여 임시 디렉토리를 만들고,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을 저장한 후 반환하는 구조입니다. 이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지, 그리고 대체 방법과 비교했을 때의 장단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.1. 현재 방식 (tempfile.mkdtemp())✅ 장점보안성 확보임시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외부 접근을 방지할 수 있음.OS가 제공하는 임시 저장소를 사용하므로,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음.다중 사용자 처리 가능각 요청마다 별도의 디렉토리를 생성하므로,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요청해도 파일이 충돌할 가능성이 낮음.자동 삭제 가능@after_this_request를 활용하여 응답이 끝난 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2.10

[diykitten] 사용하고 있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정리

Python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면서 여러 개의 모듈을 추가하게 되었다. 이미지 처리, PDF 생성, S3 파일 관리, 웹 API 개발 등 여러 요소를 다루면서, 각 모듈이 프로젝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리하고, 왜 추가하게 되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.1. Flask - 웹 API 개발✨ 추가 이유웹 API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Flask를 사용했다. Flask는 가볍고, 빠르게 REST API를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, 프로젝트의 핵심 백엔드 역할을 한다.🔍 사용 예시@app.route('/generate-png/', methods=['GET'])def generate_png_api(file_id): return send_file(png_path, ..

개인프로젝트 2025.02.10

[python,Flask]Flask의 @after_this_request 데코레이터 사용법

1. @after_this_request란?Flask에서 @after_this_request 데코레이터는 특정 뷰 함수가 실행된 후, 응답을 반환하기 직전에 추가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.이는 요청이 끝난 후 임시 파일을 삭제하거나, 특정 로그를 남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2. 기본 사용법@after_this_request는 뷰 함수 내에서 정의되어야 하며, 하나의 인자로 응답 객체 (response)를 받는 내부 함수를 필요로 합니다.from flask import Flask, request, jsonify, send_file, after_this_requestimport osimport tempfileapp = Flask(__name__)@app.ro..

개발공부 2025.02.10